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승강기기사 응시자격 고졸, 비전공자도 갖추는 방법

안녕하세요, 학습플래너 김유진입니다.

오늘은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승강기안전공단에서 가산점을 부여해주는 자격증

승강기기사 자격증과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기술자격증이다보니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려면

관련전공 4년제대학교를 졸업하거나

관련전공 전문대 졸업 후에 실무경력을 쌓거나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을 쌓거나

4년의 순수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위 조건 중에 해당되는 게 없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사실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은 경우

학력/경력을 새롭게 채우는 것보다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을 채워 시험 자격조건을 갖추는 것이 가장 빠르고

수월하게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입니다.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기간은

학습자분들의 최종학력과 보유학점에 따라 다릅니다.


우선 전문대졸/고졸인 분들은 106학점을 채우셔야 하며,

4년제졸업하신 분들은 0학점부터 새롭게 학점을 이수해야 하고

총 48학점을 이수하셔서 타전공 학사학위 과정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학점을 채워서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때에 106학점 안에는

학점은행제 강의/자격증/전적대를 통해 이수한

의무 18학점이 꼭 포함되어야한다는 점 !

학점은행제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제도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컴퓨터/노트북/핸드폰 사용이 가능하다면,

사무실, 집, 카페 등 어디에서든지 강의 이수가 가능합니다.


또 시간표가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고 1주차 강의를

2주 안에만 출석하여 이수하시면 되어서 학점은행제를

진행하는 8-90% 이상이 직장인분들입니다.


또한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등록금은 대학등록금의 1/5 비용으로 훨씬 저렴하게 진행되고,

온라인으로 진행된다는 장점으로 승강기기사 관련 공부도 병행 가능합니다.

학교는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이 강의밖에 없지만,

학점은행제는 학점을 취득하는 방법이

전적대/강의/독학사/자격증 총 4가지 방법이 있어서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빠르게 갖출 수 있습니다.


전적대학점은 전문대중퇴/졸업했거나

4년제중퇴의 경우에 끌고오실 수 있습니다.


강의는 1학기 최대 8과목(24학점), 1년 최대 14과목(42학점)의

이수제한이 있어서 기간을 단축하여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자한다면, 자격증/독학사를 병행하셔야 합니다.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어서 시험을 보고싶은데,

자격조건이 갖추어지지지않고, 또 직장을 다니면서

관련 전공의 학교를 다니거나 오랜 경력을 쌓기에는 부담이 크실겁니다.


실제 학점은행제는 고졸/전문대졸/비전공자 4년제졸이라

승강기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은 분들이 모두 진행할 수 있는 제도로,

직장과 병행이 가능합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을 취득하는 과정 중에서

진행되는 시험, 과제, 토론, 퀴즈 등에 대한 전과정을

수월하게 직장/기사공부와 병행하여 진행하실 수 있도록

학점취득 전과정 책임지고 도움드리겠습니다.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아서 걱정하거나 고민하시는 분들은

고민만 하지마시고 네임카드/이미지를 통해 연락주시면,

승강기기사 응시자격 갖추실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곘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