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습플래너 김유진입니다.
오늘은 광학기사 응시자격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광학 분야는 점점 시간이 지나고, 시대가 지날수록
더더욱 중요해지고있는 분야입니다. 광 정보통신산업, 우주산업 등의
첨단분야를 중심으로 한 발전으로 광학기기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활용되기 때문인데요.
광학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아서 시험응시를 하고싶은데
고민하고계신 분들이 많으셔서 응시자격 갖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국가기술자격증이라서
광학기사 응시자격은 관련전공의 학사학위를 취득하거나
관련전공의 전문대 졸업 후 / 산업기사 취득 후 경력을 쌓거나
학력이 없는 경우 순수경력 4년을 쌓야아 합니다.
사실 현실적으로 광학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은 분들이
시험을 응시하기 위해 새롭게 학력/경력을 쌓는 것은
시간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비효율적이고
실제 대부분 직장인분들이라서 갖추시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학점은행제 제도를 통해 광학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것이
다른 방법들에 비해 훨씬 쉽고 빠른 방법이고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시험응시자격이 갖춰지지않는 분들이 많이들 진행하십니다.
고졸/전문대졸분들은 총 106학점 이수하셔야 합니다.
4년제를 졸업하신분들이 광학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때에는
전적대학점을 끌고올 수 없어서 0학점부터 새롭게 이수하셔야 하고,
"타전공 학위과정"을 통해 48학점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최종학력과 보유학점에 따라 기간이 조금씩 상이하지만
기본적으로 전문대졸은 1-2학기, 3년제졸은 2학기가 소요됩니다.
고졸인 분들은 보통 2년이 소요되지만, 자격증/독학사를 병행하신다면
광학기사 응시자격 갖추는 과정을 기간단축하실 수가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로 106학점을 채우셔서 기사 자격조건을 갖출 때에
응시하고자하는 관련 전공으로 학습자등록을 하신 뒤에
106학점은 전공/교양/일반학점 상관없이 이수하셔도 됩니다.
또한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만 있다면 진행이 가능하고,
실제 대학등록금의 1/5 비용이 발생되어 비용적으로도 상당히 저렴합니다.
출석은 1주차 강의가 2주안의 출석가능기한이 주어지며,
시간표가 정해져있는 게 아니라서 끊어듣기/몰아듣기가 가능합니다.
학점을 강의로만 취득해야하는 학교와 달리
학점은행제는 학점취득방법이
강의/자격증/전적대/독학사 총 4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강의가 1학기 8과목, 1년 14과목의 이수제한이 있어서
전적대/자격증/독학사를 통해 학점을 추가로 이수하십니다.
전적대는 전문대중퇴/졸업의 경우에만 끌고오실 수 있으며
4년제를 졸업하신 경우 전적대학점을 끌고오실 수 없어서
0학점부터 새롭게 이수하셔야 합니다.
추가로 자격증이나 독학사를 병행하신다면
광학기사 응시자격 갖추는 기간을 단축시키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분들의 상황과 보유학점에 따라서
광학기사 응시자격 갖추는 과정이 상이합니다.
또 학점은행제는 단순하게 강의만 듣는 게 아니라
국가기술자격증의 응시자격을 갖추는 과정이기때문에
시험, 과제, 토론 등의 학점취득과정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직장, 가사, 군대 등과 병행하실 수 있도록
기사 공부를 충분히 진행하실 수 있도록
학점은행제로 학점취득하시는 과정에 대해서
1:1 관리를 통해 도움드리고 있으며,
참고자료와 안내문을 통해 수월하게 광학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실 수 있도록 학점취득 전과정 도움드리고 있습니다.
광학기사 시험을 응시하고싶은데,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아서
고민이신 분들은 네임카드를 통한 문의주시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수월하게 광학기사 응시자격 갖추실 수 있도록 도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