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습플래너 김유진입니다.
오늘은 기상기사 응시자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상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기상청, 국립천문대 등의
연구기관이나 정부기관으로 취업할 수 있고, 또 tv방송국의
일기예보 담당자나 담당부서에 취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 최근에는 기업의 특성을 파악해서
맞춤형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컨설턴트"라는
신생직업이 등장했는데, 이 기상컨설팅업체나
민간 기상예보업체 등에도 취업이 가능하다고 해요!
때문에 최근에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학생들이 많아졌습니다.
우선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려면 순수경력 4년이상이 있거나,
관련전공의 4년 이상의 학력이 있어야 합니다. 아니면, 관련 전공의
전문대학교를 졸업하고 졸업한 뒤에 실무경력을 쌓으셔야 합니다.
그래야 기상기사 응시자격이 갖추어져서 기상기사 시험응시가 가능하고,
응시자격이 갖추어지지않았다면 학점은행제 제도를 통해서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로 106학점을 보유하면 기사 시험응시가 가능합니다.
고졸/초대졸의 경우 106학점을 취득하시면 됩니다.
기상기사 응시자격은 최종학력에 따라 취득해야하는 학점이 다릅니다.
고졸/초대졸은 106학점을 이수하셔야 하고,
대졸의 경우 48학점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대졸은 학점은행제로 전적대를 끌고올 수 없어서
0학점부터 새롭게 학점을 이수하셔야 하고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때에 "타전공 학위과정"을 진행하기에
48학점을 이수하셔야 합니다. 또 경영학 과정으로
진행하셔도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분야가
동일직무분야로 인정되어서 온라인과정으로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제도로,
실제 학위를 취득하면 4년제/전문대를 졸업한 것과 동등한 학력이
인정되는 제도입니다. 실제로 산업기사/기사와 같은
국가자격증의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으며 고졸이상이라면 진행이 가능합니다.
실제 난이도도 쉬우며, 컴퓨터/핸드폰/노트북만 있다면
어디서든지 출석이 가능하여 수월하게 강의이수가 가능합니다.
때문에 직장인, 군인, 주부분들도 학점은행제를 통해
기상기사 응시자격 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 산업기사 자격조건도 갖추실 수 있습니다.
학점을 강의로만 취득하는 학교와 달리 학점은행제는
학점취득방법이 4가지 방법이나 있습니다.
전적대학점 / 강의 / 자격증 / 독학사 총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전적대학점을 끌고올 수 있는 학습자는
전문대학교를 졸업/중퇴에 해당하거나
4년제대학교를 중퇴해야 합니다.
4년제대학교를 졸업한 경우 전적대학점을
끌고올 수 없어서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과정에서
0학점부터 학점을 이수하셔야하고, 타전공 학위과정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자격증/독학사를 병행한다면 기간단축을 통해
학위를 빠르게 취득할 수 있으며 자격증, 독학사는 선택입니다.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학점은행제를 통해 갖추는 과정을
혼자서 진행하시게 되면 잘못된 과목을 선택하거나
기사자격조건을 갖춰야하는 시기에 학점인정신청이 되어야하는데
학점인정신청을 완료하지못해서 기사 시험을 응시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1:1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기상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어
기상기사 시험응시가 가능하도록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생분들마다 보유학점과 최종학력이 다르기때문에
학습자분들의 상황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기상기사 응시자격 갖추실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